1. 데이터 통신
1.1. 구성요소
1.2. 메시지
1.3. 데이터 전송 방향
2. 네트워크
2.1. 네트워크 평가 기준
2.2. 물리적 구조
3. 네트워크 유형
3.1. 근거리 통신망
3.2. 광역 통신망
3.3. 인터넷
3.4. 인터넷 접속
4. 프로토콜 계층화
4.1. 시나리오
4.2. 프로토콜 계층화의 원칙
4.3. 논리적 연결
5. TCP/IP 프로토콜 그룹
5.1. 계층적 구조
5.2. 계층들의 간단한 설명
5.3. 각 계층에 대한 설명
6. OSI 모델
6.1. OSI 대 TCP/IP
6.2. OSI 모델의 실패
교재 : 데이터 통신과 네트워킹 (6판)
└ 6판 내용이 너무 빠진 게 많아 교재 외에 내용도 작성 예정
1. 데이터 통신
데이터(Data) : 가공하기 전의 순수한 수치나 값
정보(Information) : 유의미하게 가공(정리, 구조화, 처리)한 의미있는 데이터
지식(Knowledge) : 우리가 알고 있는 것, 과거의 경험과 이미 가진 지식으로 산출한 가치 있는 정보
통신(Communication) : 정보나 데이터를 공유하는 것
정보 통신(Telecommunication) : 먼 거리에서 행해지는 통신 (Tele는 그리스어로 멀다는 의미이다.)
데이터 통신(Data Communication) : 전선과 같은 통신 매체를 통해 두 장치 간에 데이터를 교환하는 것
효율적인 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특성 : 전달성, 정확성, 적시성, 파형 난조
전달성(Delivery)
시스템은 정확하게 목적지에 데이터를 전달해야 한다.
데이터는 반드시 원하는 장치나 사용자에게 전달돼야 한다.
정확성(Accuracy)
시스템은 데이터를 정확하게 전달해야 한다.
전송 도중 변형이 생긴 데이터는 사용할 수 없다.
적시성(Timeliness)
시스템은 적시(適時)에 데이터를 전송해야 한다.
적정 시간에 이루어진 전송이란, '데이터가 만들어진 그대로, 순서대로, 과도한 지연 없이 전송됨'을 의미한다.
이것을 실시간(Real-Time) 전송이라고 한다.
파형 난조(Jitter)
패킷 도착 시각이 조금씩 다른 것을 말한다.
지연 정도에 따라 음성이나 동영상 패킷(품질)이 고르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
1.1. 구성요소
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다섯 가지 구성 요소 : 메시지, 송신자, 수신자, 전송 매체, 프로토콜
메시지(Message)
통신의 대상이 되는 정보(혹은 데이터)
텍스트, 숫자, 그림, 소리, 영상, 또는 이러한 것들의 조합으로 만들어진다.
송신자(Sender)
메시지 생성 및 송신을 하는 장치 혹은 사람
컴퓨터, 전화기, 카메라, 휴대폰 등이 속한다.
수신자(Receiver)
전송 매체를 통해 메시지를 수신하는 장치 혹은 사람
송신자와 같은 장치 또는 사람이 여기에 속한다.
전송 매체(Transmission Medium)
메시지가 송신자에서 수신자까지 이동하는 물리적인 경로
꼬임쌍선(Twisted Pair Wire), 동축선(Coaxial Cable), 광케이블(Fiber-optic Cable), 레이저, 무선파 등
프로토콜(Protocol)
상호 합의 하에 데이터 통신을 통제하는 규칙들의 집합
이런 신호 체계(규칙)들은 상호 인증, 오류 감지, 수정 등의 기능을 포함한다.
1.2. 메시지
문자(Text)
숫자(Number)
영상(Image)
오디오(Audio)
비디오(Video)
1.3. 데이터 전송 방향
단방향 방식(Simplex Mode)
반이중 방식(Half-Duplex Mode)
전이중 방식(Full-Duplex Mode)
2. 네트워크
네트워크(Network)
호스트(Host)
연결 장치(Connecting Device)
2.1. 네트워크 평가 기준
평가 기준(Criteria)
성능(Performance)
신뢰성(Reliability)
보안(Security)
2.2. 물리적 구조
연결 유형 : 점-대-점, 다중점
점-대-점 연결(Point-to-point Connection)
다중점 연결(Multipoint Connection)
물리적 접속 형태(Physical Topology) : 그물형, 성형, 버스형, 링형
그물형 접속형태(Mesh Topology)
성형 접속형태(Star Topology)
버스형 접속형태(Bus Topology)
링형 접속형태(Ring Topology)
3. 네트워크 유형
3.1. 근거리 통신망
3.2. 광역 통신망
3.3. 인터넷
3.4. 인터넷 접속
4. 프로토콜 계층화
4.1. 시나리오
4.2. 프로토콜 계층화의 원칙
4.3. 논리적 연결
5. TCP/IP 프로토콜 그룹
5.1. 계층적 구조
5.2. 계층들의 간단한 설명
5.3. 각 계층에 대한 설명
6. OSI 모델
6.1. OSI 대 TCP/IP
6.2. OSI 모델의 실패
'학교 공부 > 컴퓨터 네트워크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08 네트워크층: 패킷의 라우팅 문제 풀이 (0) | 2022.12.10 |
---|---|
07 네트워크층: 데이터 전송 문제 풀이 (0) | 2022.11.20 |
07 네트워크층: 데이터 전송 (0) | 2022.11.01 |
02 물리층 문제 풀이 (0) | 2022.10.05 |
01 개요 문제 풀이 (0) | 2022.10.05 |